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에어팟 프로 고장 서비스센터 방문 점검 수리 교체 비용

by 해피인트 2024. 8. 15.
728x90
반응형

 

3년 조금 안되게 쓰고 있던 에어팟 프로가 고장 나서 서비스센터에 점검을 받으러 방문을 했습니다.

그런데 생각과는 많이 달랐던 서비스센터 후기를 올려볼까 합니다.

 

 

얼마 전에 제 에어팟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갑자기 오른쪽 유닛이 노이즈 캔슬링이 안되는듯한 느낌과 지지직 거리는 잡음이 들렸습니다.

참고로 제가 쓰는 에어팟은 에어팟프로 1세대입니다.

 

 

 

 

그래도 소리가 안 들리는 건 아니니까 일단 사용하고 있었는데 요즘은 자꾸 오른쪽만 전원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렇게는 계속 사용하기가 힘들다 싶어서 에어팟을 수리하기로 했습니다.

 

 

 

 

▷ 에어팟 고장 온라인 수리 ◁

 

일단은 애플 홈페이지에서 애플 지원 상담사에게 궁금한 사항을 문의하여 온라인으로 상담을 받아보기로 했습니다.

 

애플 홈페이지에서 → 고객지원  Apple수리를 선택한 다음 수리 시작하기를 시작하시면 된답니다.

 

그럼 어떤 주제와 관련된 도움이 필요한지를 정하고 문의하기에서 채팅하기와 전화하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온라인으로 직원과 채팅 상담을 해봤는데요, 역시나 원인은 찾을 수 없었고 아무래도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서비스센터 방문을 권유했습니다.

 

동네에도 애플 수리업체가 있는 걸 봤었는데 그곳은 안내해주지 않으시더라고요.

보니까 애플 서비스센터는 공인 서비스센터가 있고 독립 수리 제공업체가 따로 있나 봐요.

 

 

상담사분께서 가까운 애플 공인 서비스센터를 안내해 주셨고 예약진행을 대신해주시기도 합니다.

저는 제가 편한 시간을 생각해서 가려고 직접 예약하겠다고 했습니다.

 

 

 

 

 

▷ 에어팟 고장 서비스센터 방문 수리 

 

그렇게 미리 예약을 하고 예약시간에 맞춰 애플 공인 서비스센터에 방문을 했습니다.

공인 서비스센터 이름이 ANTZ인가 봐요.

 

 

 

일단 도착하면 키오스크를 통해 예약시간을 확인해 주어야 등록이 됩니다.

제가 좀 일찍 도착했는데 예약시간 15분 전부터 등록이 된답니다.

너무 일찍 갈 필요가 없어요. 어차피 현장에서는 등록이 안되기 때문에 15분 전에만 도착하시면 된답니다.

 

 

 

 

저는 좀 더 기다렸다가 15분 남았을 때 예약확인을 했습니다.

서비스 선택에 '예약하지 않고 방문했습니다. '를 선택하면 어떻게 되는지는 눌러보질 않았네요.

제가 알기로는 공인 서비스센터는 예약이 필수라고 알고 있거든요.

 

 

 

기다리는 동안 살펴보니 점검 서비스 가격안내가 있어서 살펴보았습니다.

iPhone, iPad, iPod, AirPods, Beats의 미분해 점검 가격은 2만 원, 분해점검은 3만 원, Apple기기 간 데이터 이동 등은 3만 원, 기타(타사제품 연결 등)는 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었고, Mac, Display는 가격이 좀 다릅니다.

그리고 그 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안내하고 있습니다.

 

사진상으로 잘 보이지 않을 거 같아서 안내해 드리자면,

 

- 점검 시 추가적인 기능 문제나 H/W 수리를 요하는 경우 발생 시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제품 및 보증상태에 따라 상기 점검서비스 금액이 책정됩니다.

- 점검서비스 비용은 부품이 교체되는 수리가 진행될 경우에는 청구하지 않습니다.

- 점검 및 고객 동의로 H/W적인 수리가 진행된 이후에 단순변심, 추가수리(부품 등) 확인, 비용 등으로 수리를 취소할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수리를 위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술상담료를 청구하지 않습니다.

- Windows 설치는 정품 라이센스 제공 시에만 가능합니다.

- 데이터의 이동은 동일한 제품(Apple제품)으로만 가능하며 동작상 문제가 없는 제품만 가능합니다. (예: iPhone ↔ iPhone / Mac ↔ Mac)

 

 

 

 

보시면 에어팟 점검 서비스의 경우 비용이 발생합니다.

온라인으로 상담받을 때 수리비용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지 못했었는데 그게 좀 아쉽네요.

 

참고로 에어팟의 경우 보증기간은 구입일로부터 1년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제품보증기간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이폰 앱에서 시리얼 넘버를 넣어서 확인하시거나 애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구입한 지 거의 3년이 다되어갔기 때문에 무상수리, 교체 시기는 지난 상태였습니다. (사실 이걸 잘못 알고 서비스센터를 방문하긴 했어요. 저는 만 3년인 걸로 알고 갔거든요. 이것도 온라인 상담받을 때 설명을 해주셨으면 좋았을걸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제 에어팟 고장 수리는 어떻게 되었는지 말씀드릴게요.

 

직원 : 에어팟의 경우 무상수리 기간이 1년인데 제품 보증기간이 지나서 점검서비스를 받으실 경우 점검비용이 발생합니다.  점검비용은 2만 원입니다.  그런데 에어팟의 경우 현재까지는 분해해서 점검하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기술적인 문제가 발견되었을 경우 수리가 아니라 새 상품으로 교체하셔야 합니다.

 

나 : 네? 그럼 점검은 왜 하는 거죠?

 

직원 : 그래서 미리 비용이 발생한다고 말씀을 드리는 거고요, 만약 점검에서 문제 발생을 확인해서 새 제품으로 교체하실 경우 점검비용 2만 원은 차감해 드립니다. (물론 말씀해 주시는 직원분은 굉장히 친절하게 말씀해 주셨고 다만 애플의 서비스가 불친절한 거였습니다 )

 

나 : 그럼 점검을 하던 안 하던 문제가 있으면 새 제품을 사는 것밖에는 해결방법이 없다는 건가요? 그럼 점검을 왜 하는 걸까요.

 

직원 : (난감해하며) 그래도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확실하게 알고 싶으시다면 점검을 받으셔야 하고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있다면 수리가 아닌 유닛을 새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나 : 점검 비용이 무료도 아니고, 온라인 점검으로 이것저것 해봤을 때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분명한데 점검을 받을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그럼 새 상품으로 교체할 경우 얼마인가요?

 

직원 : 유닛을 교체할 경우 개당 13만 9천 원입니다. (이것도 나중에 와서 검색하니 좀 이상합니다. 애플 홈페이지에서는 13만 원으로 안내되어 있었거든요.) 양쪽 다 교체 시 각각 지불하셔야 합니다.

 

나 : 그 가격이면 굳이 교체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냥 새 걸 사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

 

직원 : 네 그.. 그렇죠. 그래서 미리 수리비용과 교체비용을 안내해 드리는 겁니다.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직원분은 친절하셨습니다.)

 

나 : 그럼 점검받을 이유가 없네요... 알겠습니다...

 

 

이렇게 아예 수리가 안 되는 거면 도대체 수리 안내는 왜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점검이라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면 모르지만 유료 점검에 결국 새 유닛으로 교체하라는 말뿐이라면 A/S라는 말이 무색한 거 같네요.

애플의 서비스... 네 잘 알겠습니다.


 

 

결론은 무상 수리 기간이 지났고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맞는 거 같다면 애플 서비스센터 방문할 필요 없이 새 상품을 사면 된다는 겁니다.

 

애플 공식 서비스 센터의 경우 지점마다 영업시간이 다를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